실업인정일에 해당 지역의 고용보험센터를 방문하지 않고 인터넷으로 신청하는 방법이 분명히 존재한다.

다만....해당 신청을 할때 기억으로는...18:00이후였나... 저녁에 고용보험사이트가 차단(?) 되는 상황으로 인해

몇번을 실패하고 실업인정일 전날 저녁에도 실패하고 나서... 결국 고용복지센터를 방문하기로 했다.

 

시흥고용복지센터

시흥시 같은 경우에는 정왕역 앞쪽에 위치하고 있다.

실업급여 신청했을때도 방문이 필요했고 그이후로는 안갈 줄 알았는데....

해당실업인정일에 꼭 방문을 하거나 인터넷으로 처리해야 한다.
실업인정일 차수마다 시간이 정해져있다.

깅당(?) 같은 곳에서 교육하는 강사분이 나오시고 들어가면서 받은 리플릿과 수첩, 작성이 필요한 종이를 받았다.

실업급여 기본 리플렛

간단한 안내 정도가 들어있는 리플렛이 있다고 하면

취업희망카드

가장 중요한 취업희망카드라는 수첩을 준다...여기서 대부분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고 신청시 부여 받는 창구번호(담당자)도 확인이 가능하다.

양면종이에 부정수급/자체학습/재취업지원 설문 등 제출이 필요하다.

강사분이 말씀해주신느 내용은 취업희망카드라는 수첩에서 대부분 확인이 가능하다.

실업급여는 재취업의 의사가 있는 구직희망자에게 취업을 촉진시키기 위한 수단이기 때문에..

부정수급에 상당히 민감(?)하다 그러니 꼭 부정수급이나 재취업활동으로 불인정 되는 사례는 꼭 확인하고

재취업 되기전까지는 실업인정일을 꼭 지켜서 관련 내용을 제출해야 합니다.

 

모두들 좋은 직장으로 재취업 하시기를 빕니다.

제목이 통장 사본이란 말이 들어가 이상하지만

계속 관리하는 통장이 아닌 이상 통장 실물을 가지고 있기보다는 인터넷 뱅킹이나 ATM기, 카드를 통해

거래를 하기 때문에 통장 사본을 쉽게(?) 구하기 어렵기도 하다.

온라인 개설된 통장은 아에 통장 사본이 없기도하고...

 

여기서 내 통장을 증명할 통장 사본 대신 "통장표제부"를 온라인으로 발급해보자.

(필자는 신한은행을 주로 사용하고 있어 신한은행으로 들어갔습니다.)

일단 해당 은행 사이트로 이동

https://www.shinhan.com/

 

Shinhan Bank

 

www.shinhan.com

 

일단 로그인 합니다.

편한 방법으로 로그인 해주세요

로그인 후 첫화면에서 부가서비스-증명서발급서비스-통장사본출력으로 순서대로 이동합니다.

 

제 경우에는 통장이 3개 나오는데 국문/영문 필요한 형태로 출력하시면 됩니다.

뭔가 계약을 하거나 신청 등을 할 때 항상 필요한 것이 주민등록등본인데요

온라인으로 신청하는 방법을 정리했습니다.

 

주민등록등본 발급은 "정부24"사이트에서 진행하겠습니다.

https://www.gov.kr/

 

정부24

 

www.gov.kr

바로 첫화면에 등본 발급부분이 확인됩니다.

실제로 인터넷으로 발급이 가능하고 방문도 무인발급기를 통해서도 가능합니다.

여기서 발급을 눌러주면 작은 로그인 창이 나오고 여러가지 로그인 방법중 한가지 방법으로 로그인 해야합니다.

작은 창이 뜨지만...
결국 로그인 유도

 

로그인 후에 3가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주민등록상 주소, 발급 형태, 수령 방법인데요 온라인 발급이 목적이니 온라인 발급 그대로 "민원신청하기"를

클릭 합니다.

 

"Home > MY GOV > 나의 서비스 > 서비스신청내역"으로 들어가 해당 신청내역을 확인하고

출력하면 됩니다.

문서출력을 클릭하세요

대출, 입사 등에 필요한 원천징수영수증을 온라인으로 발급해 보겠습니다.

 

포털사이트에서 홈택스를 검색해서 이동합니다.

https://www.hometax.go.kr/

 

국세청 홈택스

 

www.hometax.go.kr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첫 화면에서 로그인 클릭

여러가지 로그인 방법이 나옵니다. 이 중에서 편한 방법을 선택해주세요.

첫페이지로 돌아오는데 My홈택스를 클릭합니다.

그 후 로딩되는 화면에서 스크롤을 조금 내리면 "연말정산/지급명세서" 부분이 보이고 "지급명세서 등 제출내역"을 클릭해줍니다.

아래처럼 제출내역이 나오게 됩니다. 이 중에서 보통은 직전년도를 발급받아 제출하면 됩니다.

지급명세서 보기를 눌러 해당 내용을 출력하거나 PDF로 저장하면 됩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