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갑작스러운 일본 출장으로 출장 준비부터 귀국까지 전체 내용을 기록해보기로 했다
일본 비자 발급 받기

원래 상용 출장이나 하는것들은 모두 비자를 받아야 했지만 관광비자 면제가 있었다보니

실제 일본 출장에 비자를 발급받는 일은 없었다.

원래는 관광비자 면제였던 것 같은데... 그렇다고 해도 업무차 출장에도 비자를 따로 준비했던 기억은 없었으니..

 

지금(22년 5월 15)기준으로는 아직 관광으로써의 일본 방문은 불허이기 때문에 

단기 비자를 마련해보기로했다.

 

비자 신청은 2가지로 나뉜다고 보면 된다.

1. 순수 노가다...개인 신청(정석대로...)

2. 여행사 등을 통한 대리 신청 발급

 
일본 비자 신청은 아래의 주한일본대사관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https://www.kr.emb-japan.go.jp/visa/visa_ryoji.html

 

VISA

【중요한 안내】 코로나 19 감염증의 감염확대에 따라 현재 개인에 의한 사증(비자) 신청은 대사관 창구에서의 접수를 정지하고, 대사관 지정의 대리 신청기관을 통한 신청 접수 및 수령으로 한

www.kr.emb-japan.go.jp

 

 

물론 정석대로 진행하시는 분들은 드물다고본다...

이번 신청은 여행사를 통해 대리 신청 발급을 진행했다.

 

일본 비자 대리 신청

주한일본 대사관에서 제공하는 대리 신청 지정 여행사를 참고해서 자신과 가까운 

여행사에 신청하거나 방문이 불가하다면 등기등을 통해 진행하는 방법이 있다.

https://www.kr.emb-japan.go.jp/what/news_20201026_immigration.pdf

 

일본 비자 신청 준비물

https://www.kr.emb-japan.go.jp/visa/visa_tanki.html

 

VISA

【중요한 안내】 코로나 19 감염증의 감염확대에 따라 현재 개인에 의한 사증(비자) 신청은 대사관 창구에서의 접수를 정지하고, 대사관 지정의 대리 신청기관을 통한 신청 접수 및 수령으로 한

www.kr.emb-japan.go.jp

자세한 내용은 주한일본영사관에서 확인가능하지만, 단기 상용 비자 신청에 필요한 내용을 간추리면

※단기 상용(회의출석, 상용(업무연락/상담/선전/AS/시장조사 등), 문화교류, 스포츠 교류 행사 등)


  • 주한일본 대사관에서 확인한 비자 발급 방법(비지니스 트랙을 이용한 신규 입국의 경우)

 1 단기 체류 (상용)
 (일본에 출장하여 수행하는 업무 연락, 상담, 계약 조인, A/S, 선전, 시장 조사 등, 일본에서의 체류 기간이 90 일 이내로 보수를 수반하지 않는 활동)

 (1) 사증 신청서 (한국어 / 영어)(최근 6개월이내 촬영한 얼굴 사진 부착)
 (2) 여권
 (3) 신청인의 재직 증명서
 (4) 초청 사유서 (PDF)

 (5) 신원 보증서 (PDF)

 (6) 서약서 ('외국인 비즈니스 트랙')(PDF) (1월 8일 갱신) 사본 2 통 (주 1)
 (7) 일본에서의 활동 계획서 (PDF) (10월 30일 갱신) 사본 2 통 (주 1)
 (8) 주민등록등본 또는 초본 또는 주민등록증 양면 사본 1통
 (한국 외 국적자는 외국인등록증의 앞뒤 사본을 제출하시기 바랍니다.)
 * 주민등록지(외국인등록지)가 경상남북도,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울산광역시 및 제주도 지역의 경우 대사관에서 사증 접수가 불가능합니다. 해당 영사관으로 문의바랍니다.

 

  • 여행사에서 확인한 비자 발급 방법

2022년 03월02일부터 관광 이외 목적의 방일희망자를 대상으로 비자발급이 가능합니다. 

모든 방일희망자는 수용기관(학교/고용주/현지법인/협력회사)에서 ERFS시스템을 통한 사전 접수필증을 취득해주셔야 합니다.

ERFS시스템을 통한 접수필증 신청은 2022년 02월25일 오전10시부터 가능합니다.

유학생/내정자(취업)/비즈니스등 방일희망자께서는 현지 수용기관을 통하여 빠르게 접수필증을 취득하여 주시길 바랍니다.

 

기본적으로 ERFS라는 시스템에 방일희망자를 초대한 업체에서 접수필증이라는 것을 취득해줘야

방일희망자의 비자 발급이 가능하다는 얘기이다..

 

https://www.mhlw.go.jp/stf/seisakunitsuite/bunya/0000121431_00341.html

 

外国人の新規入国制限の見直しについて

外国人の新規入国制限の見直しについて掲載しています。

www.mhlw.go.jp

https://entry.hco.mhlw.go.jp/

 

外国人新規入国オンライン申請のためのログインID申請サイト

外国人新規入国オンライン申請のための​ ログインID申請サイト 重要なお知らせ 令和4年3月1日午前0時より、水際対策強化に係る新たな措置(27)に基づき、外国人の新規入国制限の見

entry.hco.mhlw.go.jp

 


 

결국 여행사쪽에서 확인한 내용이 최신 내용 + 간소화된 내용이라는 것을 확인하고

여행사쪽에 대행을 진행했다.

 

기본 비자 신청비용 + 대행 + 접수필증 까지... 가격이 여행사마다 조금씩 다르긴 하지만 큰차이가 나지 않으니.. 

빠르게 신청할 수 있는 곳에 신청해서 받으면 될것 같다.

 

워킹데이로 빠르면 3일 늦으면 5일정도 걸리는 것같다.

필자의 경우 화요일 오후에 신청해서 금요일 발급됬으니 찾아가라는 연락을 받았다.

 

6월에는 좀더 편해질 꺼라는 얘기가 있지만...

앞으로 .. 출국 2일전 PCR 검사를 진행하고 출국, 일본 입국, 자가격리, 격리해제, 국내 귀국까지 ...

경험기를 써볼 예정이다.

 

한줄 요약
예전처럼 단기는 비자 발급 안하고 갈 수 있게 빨리 해줬으면 좋겠다.
반응형
반응형
문화상품권으로도 로벅스를 구매할 수 있다고 하는데....
문화상품권을 활용해서 로벅스를 사보자


지난번 포스팅에서 문화상품권을 온라인으로 사용하기위해 컬처캐쉬로 등록했었다.
2022.05.06 - [생활] - 컬처랜드 문화상품권 온라인 사용하기
이번에는 실제 구매를 진행해보자.
로블록스는 로벅스라는 자체화폐를 구매해서 게임내 유료 아이템을 구매하는 구조로 되어있다.

우선 로블록스를 로그인하고

로벅스를 클릭
그렇게까지 비싸지는 않는데.. 가랑비에 옷 젖는다....

가장 기본적인 400로벅스를 구매해보자
여러가지 결제방법이 있지만

기타를 선택하고 계속 클릭

문화상품권을 사용하기 위해 기타를 선택하고 계속을 클릭한다.

컬처랜드가 보인다.

컬처랜드를 클릭

닉네임이 컬처랜드 아이디이다.

닉네임에 컬처랜드 아이디, 암호에는 컬처랜드 비번, 이메일을 보내 영수증 받기는
영수증 받을 이메일 주소를 넣으면 된다.

그런데....
뭔가 방법이 틀렸나?

2048 에러...


방법을 찾아 봐야겠다.

한줄 요약
결국  진행한 방법은...구글플레이로 전환해서 진행했다...아깝다 수수료...
반응형
반응형
컬처랜드 문화상품권을 온라인에서 사용하기 위해 컬처캐쉬라는 걸로 등록해보자
우연히 얻게 된 3장의 문상

어쩌다 보니 5,000원권 문화상품권이 3장이 생겼다.

물론 오프라인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지만 온라인 구매에 할인 역할로 쓰는 게 훨씬 이득처럼 느껴지니 

문화상품권을 온라인에서 사용가능하도록 컬처캐쉬라는 걸로 등록해보자

컬처랜드 가입

https://www.cultureland.co.kr/main.do

 

컬쳐랜드

 

www.cultureland.co.kr

물론 모바일로도 가능하지만 자잘한 설정이나 확인을 위해 PC버전으로 접속

회원가입을 하지않으면 온라인 사용이 안되니 빠르게 회원가입

주의할 점은 컬쳐랜드의 경우 눈먼 돈이 잠드는 곳이기도 해서 해킹의 대상이 되기 쉬우니

되도록 주로 쓰는 아이디나 비번을 사용하지말고 가입 내용을 잘 보관해두는 것이 좋다.

비밀번호를 자동으로 생성해주는 서비스 등을 통해 관리하는 것도 괜찮은 방법이다.

 

문화상품권 온라인 사용을 위해...

로그인을 하고 첫 화면 상품권 - 문화상품권을 클릭한다

그리고 하단으로 내리다보면 온라인/모바일 사용가이드라는 부분이 보인다.

온라인/모바일 사용가이드를 클릭

온라인/모바일 사용가이드를 클릭하면

컬처캐쉬 충전하기를 찾아 가면된다.

지금 컬처캐쉬로 충전하시겠어요?라고 하며 컬처캐쉬 충전하기가 나오는데 이 부분을 클릭

그러면 문화상품권의 핀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이 나온다.

핀번호를 입력하자

이미 문화상품권의 금액 부분을 긁어 핀번호를 확보했다면 어떻게 입력하는지 알 것이다.

해당 문화상품권 핀 번호를 입력하자

핀번호를 입력하고 충전하기 클릭

충전하기를 클릭하면 충전하시겠습니까라는 알림창이 뜨고

확인을 누르자

충전이 완료되면 충전결과를 출력해준다

다 쓴 문상이벤트도 있는데..

다 쓴 문상이벤트는 보통 파일 XX라는 식의 사이트나 웹툰 쿠폰을 주는 용도니 필요에 따라 하는 걸로..

 

충전을 했다면

충전이 됬다.

이렇게 충전한 컬처캐쉬가 화면에 보이게 된다

 

한 줄 요약
공짜로 얻은 문화상품권은 온라인 사용이 맞는 것 같다. 
반응형
반응형
카카오뱅크 입출금 통장을 개설해보자

 

간편하게 만들수 있다?

성인 대부분이 가지고 있는 스마트폰으로 비대면으로 만들 수 있고

카카오톡을 국민 대부분이 사용하고 있다보니 카카오뱅크라는 온라인 은행을 이용한 다는 것에는

부담감이 없다는 느낌이라... 복잡해 보이지 않는다지만...

 

컴맹에 가까운 사람이라면 스마트폰도 잘 못다룬다면 혼자서 하기에는 힘들 수도 있을 것같다.

 

https://www.kakaobank.com/

 

 

입출금 통장 가입 대상

출처 : 카카오뱅크

주민등록증 또는 운전면허증을 소지한 만 17세이상 내국인, 즉 한국나이 19세부터 통장개설이 가능하다.

오프라인 은행과 같이 예금자보호법에 적용을받아 1인당 최고 5천만원까지 보호받는다.

 

여기부터는 스마트폰으로 진행해보자

카카오뱅크 앱은 우선 설치를 한 상태로 진행했다. (앱스토어에서 카카오뱅크 검색)

 

 

첫화면

붉은색 상자안에 +를 누르면 통장 개설(추가)를 진행할 수 있다.

그러면 아래쪽에서 3가지 메뉴가 보이게 되고 그중에서 입출금통장으로 진행했다.

 

나머지 내용을 간단하게 설명하면(출처 : 카카오뱅크)

  • 세이프박스 : 세이프박스는 하루만 맡겨도 연 1.10%(세전) 금리가 제공되며, 최대 1억원까지 보관할 수 있어
    자산관리에 효율적입니다.
  • 저금통 : 저금통은 잔돈을 모아 최대 10만원까지 알아서 저축해줍니다.

3가지 추천 상품

입출금 통장을 누르면 간단한 설명화면이 나온다.

입출금통장 개설 기본 화면

가운데 신청하기를 누르고 다음 화면으로 넘어가자

 

신분증 촬영으로 본인인증해야 한다.

 

본인 인증을 통해서 개설을 진행해야한다.

기본 정보 입력

간단한 확인절차이니 진행해보자

거래 목적에는 여러가지 항목이 있지만 자유롭게 사용한다는 명목이라면 "급여 및 생활비"나 "저축 및 투자" 이정도가 나을 것 같다.

거래 목적 선택

자금출처는 직장인이라면 "근로 및 연금소득"일 것이고... 아니면 기타 이유로 기재해도 된다..

목록에는 없지만 기타도 있다..

기타도 있음

 

그리고 상품설명서와 약관 확인, 이메일 주소 등을 입력합니다

실제 사용하는 이메일을 등록하자

전부 확인하고 다음을 누르게 되면

통장 비밀번호와 통장양도금지. 이체한도에 대해 전부 확인이 필요하다

모두 확인하고 다음은 신분증 인증이 필요하다.

밝은 곳에서 촬영하면 한번에 성공한다.

신분증을 확인하면 다음 확인은 다른은행 계좌로 신분 확인을 한번 더 한다.

필자의 경우 신한은행으로 인증을 했다.

두둥

입출금통장이 확인 개설 됬다.

 

방문이 없어 간단해 보이지만 이미 다른 은행의 통장을 가지고 신분증이 있는 성인 대상이니

인터넷뱅킹/스마트폰 뱅킹을 하고 있지 않다면 다소 복잡하다고 볼수 도 있다.

통장을 개설하면 체크카드도 신청이 가능하다.

만들었으니 계좌 상세를 확인해보자

입출금 알림도 가능하고 SMS의 경우 유료이니 알림톡(카톡)과 앱푸시로 설정해두자

 

개설된 통장은 통장의 별명도 수정이 가능하고 

입출금 통장을 개설했기 때문에 모임통장도 개설이 가능하다.

모임통장의 경우 카카오뱅크에 통장을 소유하지 못한 사람도 초대해서 사용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니

가족 모임이나 각종 회비 등 관리하기 편할 것 같다.

 

한줄 요약
인터넷 뱅킹(스마트폰 뱅킹)을 사용하는 성인이라면 쉽게 개설이 가능하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