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업 급여를 신청한 상태로 재취업 활동을 진행하던 중

취업을 하게 되면 고용보험보험 사이트나 해당 지역의 실업급여를 신청했던 고용센터에 취업 사실을 신고해야합니다.

추후에 조기 재취업 수당도 진행이 가능합니다.

고용보험 사이트 발췌

우선 취업사실을 신고하기 위해 고용보험 사이트(어플)로 취업사실을 신고 해봅니다.

 

https://www.ei.go.kr/

 

고용보험

 

www.ei.go.kr

저의 경우, 해당 담당자에게 전화를 해서 취업사실을 먼저 알렸습니다.

그러자 안내 문자가 왔죠

취업사실 신고(유선 신고시 문자 안내)

크게는 2가지중 하나를 해야합니다.

 

1. 팩스로 근로계약서나 재직증명서를 제출

2. 온라인(모바일/앱, PC) 고용보험으로 근로계약서나 재직증명서를 첨부

 

저는 모바일로 진행해봤습니다. 우선 로그인 해주시고 진행해 보죠

두번째 탭에서 취업사실 신고 가 가능

첫화면에서는 취업사실 신고 화면이 나오지 않는다.

취업사실 신고 클릭
로그인을 진행하고 제대로 들어왔다면 내가 입력한 개인정보가 나올 것이다.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는 총 일수 240일

실업급여를 받을 수있는 240일 중 8일이 인정되고 일 6만6천원으로 실업급여가 지급되는 중이다.

하단부터는 본격적으로 재취업 내역을 입력해야한다.

출근 예정일부터 회사정보를 입력한다.

나중에 회사에서도 입사시킨후 각종 보험 처리를 해야하기 때문에 신고해야하는데 

그 내용과 비교 확인하게 된다.

회사 조회시 사업장 주소를 꼭 확인해서 입력하자.

회사를 조회하면 해당 내용이 보여지게 된다. 취업 방법에는 이용했던 구직 사이트나 창구를 선택하면 된다.

왼쪽부터 오른쪽으로 차례대로 답변

 해당 내용들은 쭉 이어지는 부분들이라 압축을 해봤습니다.

결국 다 아니오와 근로계약서 또는 재직증명서를 입력하고 지급 계좌는 본인 계좌로 잘 입력해주시면 됩니다.

 

해당 서류까지 전부다 입력했다면 

아직 끝이 아니다

잘 봐야한다... 신청서 저장이 정상 처리되었습니다 이다.

신청이 아니라는 얘기다.

최종 신고는 

전송 클릭

여기서 전송을 눌러야 하고

확인에 또 확인해야한다

신청서 전송이 정상 처리되었습니다 라는 메시지까지 확인해야 절차가 마무리 된 것이다.

초기 화면에서 민원 현황 확인

민원처리현황을 클릭해보면 보다 상세한 진행 절차 확인이 가능하다.

취업사실 신고가 전송되었다.

실업인정일에 해당 지역의 고용보험센터를 방문하지 않고 인터넷으로 신청하는 방법이 분명히 존재한다.

다만....해당 신청을 할때 기억으로는...18:00이후였나... 저녁에 고용보험사이트가 차단(?) 되는 상황으로 인해

몇번을 실패하고 실업인정일 전날 저녁에도 실패하고 나서... 결국 고용복지센터를 방문하기로 했다.

 

시흥고용복지센터

시흥시 같은 경우에는 정왕역 앞쪽에 위치하고 있다.

실업급여 신청했을때도 방문이 필요했고 그이후로는 안갈 줄 알았는데....

해당실업인정일에 꼭 방문을 하거나 인터넷으로 처리해야 한다.
실업인정일 차수마다 시간이 정해져있다.

깅당(?) 같은 곳에서 교육하는 강사분이 나오시고 들어가면서 받은 리플릿과 수첩, 작성이 필요한 종이를 받았다.

실업급여 기본 리플렛

간단한 안내 정도가 들어있는 리플렛이 있다고 하면

취업희망카드

가장 중요한 취업희망카드라는 수첩을 준다...여기서 대부분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고 신청시 부여 받는 창구번호(담당자)도 확인이 가능하다.

양면종이에 부정수급/자체학습/재취업지원 설문 등 제출이 필요하다.

강사분이 말씀해주신느 내용은 취업희망카드라는 수첩에서 대부분 확인이 가능하다.

실업급여는 재취업의 의사가 있는 구직희망자에게 취업을 촉진시키기 위한 수단이기 때문에..

부정수급에 상당히 민감(?)하다 그러니 꼭 부정수급이나 재취업활동으로 불인정 되는 사례는 꼭 확인하고

재취업 되기전까지는 실업인정일을 꼭 지켜서 관련 내용을 제출해야 합니다.

 

모두들 좋은 직장으로 재취업 하시기를 빕니다.

제목이 통장 사본이란 말이 들어가 이상하지만

계속 관리하는 통장이 아닌 이상 통장 실물을 가지고 있기보다는 인터넷 뱅킹이나 ATM기, 카드를 통해

거래를 하기 때문에 통장 사본을 쉽게(?) 구하기 어렵기도 하다.

온라인 개설된 통장은 아에 통장 사본이 없기도하고...

 

여기서 내 통장을 증명할 통장 사본 대신 "통장표제부"를 온라인으로 발급해보자.

(필자는 신한은행을 주로 사용하고 있어 신한은행으로 들어갔습니다.)

일단 해당 은행 사이트로 이동

https://www.shinhan.com/

 

Shinhan Bank

 

www.shinhan.com

 

일단 로그인 합니다.

편한 방법으로 로그인 해주세요

로그인 후 첫화면에서 부가서비스-증명서발급서비스-통장사본출력으로 순서대로 이동합니다.

 

제 경우에는 통장이 3개 나오는데 국문/영문 필요한 형태로 출력하시면 됩니다.

뭔가 계약을 하거나 신청 등을 할 때 항상 필요한 것이 주민등록등본인데요

온라인으로 신청하는 방법을 정리했습니다.

 

주민등록등본 발급은 "정부24"사이트에서 진행하겠습니다.

https://www.gov.kr/

 

정부24

 

www.gov.kr

바로 첫화면에 등본 발급부분이 확인됩니다.

실제로 인터넷으로 발급이 가능하고 방문도 무인발급기를 통해서도 가능합니다.

여기서 발급을 눌러주면 작은 로그인 창이 나오고 여러가지 로그인 방법중 한가지 방법으로 로그인 해야합니다.

작은 창이 뜨지만...
결국 로그인 유도

 

로그인 후에 3가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주민등록상 주소, 발급 형태, 수령 방법인데요 온라인 발급이 목적이니 온라인 발급 그대로 "민원신청하기"를

클릭 합니다.

 

"Home > MY GOV > 나의 서비스 > 서비스신청내역"으로 들어가 해당 신청내역을 확인하고

출력하면 됩니다.

문서출력을 클릭하세요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