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아침 출근길
출근 버스에 올라 자리를 살펴보던 중
뒷바퀴 좌석이 남아 있은 것을 보고
창가 쪽에 앉았다.

여느 출근때와 마찬가지로 만석버스에
그날따라 따듯한 히터 기운에
앉은 채로 졸고 있었는데..

졸다가 덜컹하면서 잠바 주머니에 있던
TWS케이스가 주머니밖으로 나왔다.

그리고는....
의자와 버스창가 벽 사이 틈에 TWS 케이스가 걸려있었다.

아직 만석인 버스.
다음 하차는 20분은 더 가야 되고...
탑승객 대부분이 자고 있었다.

빠져나온 케이스는 버스 의자 끝쪽에 걸쳐있어서
쉽게 잡기는 힘들 것 같았다.

조심스레 손을 뻗어 겨우 케이스에 닿는 순간...



케이스가 뒷자리로 떨어졌다.

여전히 주변 사람들은 자고 있었고
버스 안 바닥에 여전히 TWS케이스가 떨어져
있었지만 만석이기에 움직일 수가 없다.

다음 정거장에서 몇 명이 내리고
뒷자리에 사람은 그대로...


그다음 정거장은 사당역..
절반 이상의 사람들이 우르르 내렸다.

이때가 기회라고 생각하고 뒷좌석과 주변 바닥을
살펴봤다..

없다.

혹시 케이스가 굴러갔을 수도 있어서 주변을 더 찾았다.

없다.

하.....


그렇게 30분이 넘게 계속 바닥을 살펴보니
주변사람들이 이상하게 쳐다보기 시작한다..


그리고 주변에서 말을 걸어왔다.


뭐 찾아요?

아.. 네... 케이스를 떨어뜨렸는데 안 보여서요....

한국에서는 안 가져가니까 잘 찾아봐요.....

결국 버스 내릴 때까지 못 찾았다.
버스기사님 전화번호를 받고
버스기사님께 연락으로 받았는데...
케이스가 아니라 100원 발견하셨다고...


이어폰 없는 케이스만 가지고 할 수 있는 게 없을 텐데....
어디 갔을까 내 케이스..




이때는 몰랐다..
오늘 케이스 없이 이어폰을 핸드폰에 연결할 방법이 없다는 것을...

혹시 모르니 버스 회사에 유실물 신고나 해야겠다..






 

상황정리
  1. 25년 3월 25일 오전 7시 15분경 배곧에서 3400 버스 탑승(차량번호판 3123)
  2. 25년 3월 25일 오전 8시경 케이스가 재킷주머니에서 의자틈으로 떨어짐
  3. 25년 3월 25일 오전 8시경 케이스를 주으려 시도하지만 바닥으로 떨어짐
  4. 25년 3월 25일 오전 8시 15분경 남태령에서 몇 명 하차(뒷자리 사람 그대로 있음)
  5. 25년 3월 25일 오전 8시 25분경 사당역에서 절반가량 하차(뒷자리 사람 2명 하차, 1명 승차)
  6. 25년 3월 25일 오전 8시 25분경부터 30분 이상 바닥확인(케스 없음)
  7. 25년 3월 25일 오전 10시 21분경 버스기사님으로부터 바닥에 10ㅇ원말고 확인된 물품 없음 문자 확인.

 

애처롭게 집을 기다리는 무선이어폰

 

더보기

꽤 지났지만 아직도 잃어버린 케이스는 없다.

하지만 중고로 싸게 구입한 케이스가 있어서 그걸 이용하고 있는 중....

버스 분실물은 회수하기 힘든건가..???

반응형
반응형
안녕(安寧) 이라는 말...

 

안녕(安寧)이란?

안녕(安寧)이라는 단어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인사말이지만 정작 그 기원과 의미는 깊은 철학적, 문화적 배경에 대해서는 모르고 있는 것 같다. 그래서 이 글에서는 안녕의 어원과 문헌 자료를 바탕으로 확인해보았다.

 

안녕의 한자

安(안) : '편안하다'는 뜻을 가진 한자로, '宀'(집 면)과 '女'(여자 녀)가 결합되어 만들어졌다. 이는 집 안에 여자가 있어야 편안하다는 고대 중국의 가부장적 사고를 반영한 문자입니다. 여기서 '安'은 단순히 물리적 안정뿐 아니라 심리적 평온을 포함하는 내용이다.
  
寧(녕)**: 역시 '편안하다'는 뜻으로, '宀'(집 면), '心'(마음 심), 그리고 '皿'(그릇 명) 등이 조합된 문자입니다. 이는 집 안에 음식이 풍족하여 마음이 편안하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고 하네요.

 

그러니까 "안녕" 이라는 말은 단순히 "평안함"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가정과 마음의 조화를 이루는 상태를 말하는 것 같습니다.

 

문헌 속에 안녕

 

중국에서는 중국 고전 《시경(詩經)》과 《장자(莊子)》에는 "난리가 평정되어 안녕해지면" 또는 "천하의 안녕을 바라며 백성의 목숨을 살린다"는 표현이 등장합니다. 여기서 안녕은 주로 사회적 평화와 안정 상태를 의미하며, 인사말로는 사용되지 않았습니다.

한국에서는 조선시대 문헌인 《조선왕조실록》이나 《승정원일기》에서는 왕이나 귀족들의 안부를 묻는 표현으로 "안녕하십니까?"라는 말이 자주 등장합니다. 예를 들어, "주상 전하의 옥체는 안녕하십니까?"라는 표현이 사용되었습니다. 이렇게 되면서 인사말처럼 인식되기 시작합니다.

현대 한국어에서 "안녕하세요"는 단순한 인사말로 굳어졌지만, 여전히 상대방의 건강과 평안을 기원하는 깊은 배려가 담겨 있습니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 같은 위기 상황에서는 이 인사말이 더욱 진심 어린 안부 확인으로 쓰이기도 했죠.

 

 

한 줄 요약
지금 안녕하신가요?
반응형
반응형

쉽고 간단하게 본론만 얘기해 보자.

 

컴퓨터를 사용하다 보면 "FPS N/A GPU xx% CPU xx% 지연시간 N/A " 등의 메시지가 우측 상단에 뜨는 경우가 있다.

처음 겪으면 꺼지지도  이동시킬 수도 없어 당황하게 된다.

 

이 기능은 성능 오버레이 기능이라는 것인데 엔비디아 지포스 그래픽 카드를 사용하는 경우 

키보드에 Alt + R키를 누르면 우측 상단에 나타나게 되는 내용이다.

 

Geforce experience라는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다면 

일반- 게임 내 오버레이라는 항목을 끄면 Alt + R키를 눌러도 성능 오버레이창이 뜨지 않게 된다.

 

 

 

반응형
반응형

얼마 전부터 목이 간질간질한 게 감기인 줄 알고 약국에서 약을 사서 먹었는데,

낫지 않는 것 같아 한 달정도 만에  병원에 갔습니다. 의사 선생님께서는 후두염이라고 하시더라고요.

후두염은 감기가 아니니 잘 낫지도 않고 말할 때마다 기침이 나오기도 합니다.

 

후두염에 대해서 좀 더 알아보겠습니다.

후두염 이란

후두염은 후두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감기와는 다르게 주로 성대에 영향을 미칩니다. 감기는 일반적으로 코와 목의 상부에 바이러스가 감염되어 발생합니다. 감기 증상으로는 기침, 재채기, 코막힘 등이 있지만, 후두염은 주로 목소리가 변하거나 목이 아프고 간지러운 증상이 동반됩니다. 감기는 말할때 기침이 나오다가 안 나오다가 한다면, 후두염에 심한 상태면 말할 때마다 기침이 나기도 합니다.

 

 

후두염 상태(출처: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이 그림을 보면 정상 목과 후두염이 있는 목의 차이를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정상 목은 맑고 사각형 모양인데 비해, 후두염으로 인해 부풀어 오른 모습을 보여줍니다.

후두염을 앓고 있을 때는 목소리의 변화나 아픔이 느껴지기 때문에 일상생활에 많은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특히 후두염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후두염이 발생하는 이유

 

후두염은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가장 흔한 원인은 바이러스 감염이며, 감기의 연장선에서 후두염으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또한, 외부 환경 요인도 큰 영향을 미칩니다. 예를 들어, 미세먼지나 화학물질에 노출되면 후두에 염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특히 겨울철 난방기기에서 나오는 따뜻한 공기도 후두를 자극하여 염증을 유발할 수 있죠.

 

또한, 술이나 담배의 영향도 무시할 수 없습니다. 이러한 자극물질들은 후두의 점막을 손상시켜 후두염을 유발할 수 있으니, 후두염이 걱정된다면 이러한 요소들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후두염 예방 방법

 

후두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기본 생활 습관을 개선해야 합니다. 첫 번째로, 충분한 수분 섭취가 중요합니다. 목의 점막이 건조해지면 후두염에 걸릴 확률이 높아지므로, 하루에 물을 자주 마셔주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인후염 예방을 위해 자극적인 음식은 피하고, 충분한 휴식을 취해야 합니다.

 

후두의 구조와 김하균 고대안암병원 이비인후과 교수(작은 사진) (출처 : 매일경제)

특히, 미세먼지나 황사가 심한 날에는 외출을 자제하고, 실내 공기를 촉촉하게 유지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가습기를 이용하거나 식물로 실내 공기를 정화하는 방법도 효과적입니다.

 

후두염에 좋은 음식

후두염을 예방하고 회복하는 데 도움을 주는 음식도 많이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꿀이 들어간 따뜻한 차나 국물 요리는 목을 보호하고 염증을 줄여줍니다.

후두염에 대한 추가 설명(출처 : 바른 숨 이빈후과의원)

 

이를 통해 후두의 염증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또한, 비타민 C가 풍부한 과일, 예를 들면 오렌지나 키위는 면역력을 높여 후두염 예방에 효과적입니다. 그리고 생강이나 마늘 같은 음식들은 항염 효과가 있어 후두염 회복에 좋습니다.

 

마무리

후두염이 걸리면 목소리도 그렇고 일상생활에서의 불편함이 많아집니다. 예방이 최선이므로, 평소에 건강한 습관을 유지하고, 후두염에 좋은 음식들을 섭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항상 건강한 목소리를 위해 노력해야겠습니다.

환절기 모두 건강 유의하시고, 목이 아프거나 이상이 있을 경우에는 꼭 병원을 방문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