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관 적인 차이는 하단 부분이 플라스틱에서 금속재질로 바뀌었고 뚜껑을 결합하는 나사선이 확장되고 플라스틱 재질이 바뀌었고 필터 깊이가 바뀌었다. 시프터라는 2차 필터링할 수 있는 도구까지 준다고 한다.. 일정한 입자로 고르게 추출하기 위한 도구인데 크게 신경 쓰지 않는다면 없어도 될 듯...
좀 더 편해졌다고도 볼 수 있는데 복잡해졌다고도... 볼 수 있을 것 같다.
처음 제품을 접한 건 와디즈의 펀딩을 통해서였고 단순히 콜드브루 만들기 편해 보여서였다.
물론 커피원두를 콜드브루에 맞춰 갈아야 하고 보관해야 하는 수고는 있지만 여러 가지 커피를 맛볼 수가 있고
추출이 편하고 상대적으로 저렴한 유지비용이 마음에 들었다.
언박싱
이런 박스에 담겨 온다
측면에는 어떻게 사용하는지 설명
사은품으로 준 오프너와 카페드몽 커피까지
카페드몽 커피는 치커리 커피라고 하는데 실제로는 커피가 아닌 차라고 생각하는 게 정확할 것 같다.
실제로 뿌리를 구워서 커피처럼 갈아서 커피처럼 우려 마시게 되는데 커피가 아니니 카페인이 없다.
커피가 아니지만 맛과 향은 커피와 비슷하다.
구운 치커리(출처 : 쿠팡)
실제로 커피대용으로 판매되는 치커리 커피가 많다.
출처 : 쿠팡
제품 구성
브루어와 카라페 라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안에 있는 작은 박스를 꺼내고실제 제품을 꺼내면 이렇게 되어 있다.
왼쪽에서 커피를 추출하고 오른쪽에서 커피를 따라 마신다.
마크를 하나 큼지막하게 해주고음.. 메이드 인 차이나
OEM으로 만들었을 것이라고 생각되지만 붕규산 유리에 한 번에 여러 잔을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기본 구성으로 구매한 치커리 커피 만드는중
한 번에 커피 100g을 갈아 넣고 최소 12시간 최대 24시간을 냉장고에 넣어 두면 된다.
최대 3주까지 마셔도 된다고 하는데 보통은 그전에 소진된다.
한번 만들어지면 500mm 정도 만들어지고 18잔 정도 나온다고 하는데..
원액으로 가 아닌 물에 희석해서 먹어야 한다.(원액으로 마시면 진하다...)
기본적으로 상단이 호환된다.
상단 뚜껑이 호환되기 때문에 추출 후 그냥 교체해서 사용하면 되는 부분은 상당히 편리하다.
식기세척기도 사용가능하다고 하는데 평소에는 가볍게 씻어줘도 된다.
하지만 오래 사용하다 보면 커피 기름 등이 남기 때문에 한 번쯤은 잘 씻어주는 게 좋겠다.
장점
손쉬운 콜드부루 추출
한 번에 최대 18잔 정도 가능
교체되는 뚜껑으로 관리가 편함
단점
붕규산 유리가 얇아 깨지기 쉽다.
뚜껑을 잘 못 닫으면 새는 경우가 있다.(2.0에서 개선했다고 함)
손이 큰사람은 필터 내부를 씻어내기가 어렵다.(다이소에서 병 씻는 솔사서 사용해야 함)
한 줄 요약
딱 여기까지만 하면 편하게 커피를 맘 놓고 마실 수 있다.
25년 4월 24일 현재 1.0 버전의 경우 15,900원에 2.0 버전의 경우 59,900원에 구매할 수 있다.
얼마전 40만원의 관리비에 깜짝 놀라 봤더니 전기세가 대부분이 였다... 집안 전기세는 어떻게 줄여볼 수 있을까?
최근 늘어난 전기세에 깜짝 놀라는 경우가 많습니다. 가정에서 전기세를 아끼는 방법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가장 중요한 부분은 누진세를 피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누진세를 피하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할지 알아보겠습니다.
전기세 증가의 원인
전기세가 증가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특히 여름철에는 에어컨 사용이 급증하면서 전기 소비량이 늘어나고, 이로 인해 전기세가 급격히 상승하게 됩니다. 또한, 전기요금 체계가 누진세로 되어 있어 일정 사용량을 초과하면 요금이 급격히 증가하는 구조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많은 가정에서 전기세에 대한 부담이 커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기본적으로는 사용하는 전기기기들이 많으면 그리고 해당 전자기기들의 전력 소모량이 크면 전기세 증가가 일어나게 됩니다.
누진세란?
누진세는 전기 사용량이 많아질수록 단가가 높아지는 요금 체계입니다. 예를 들어, 기본 사용량을 초과하면 추가로 사용하는 전기량에 대해 더 높은 요금을 부과받게 됩니다. 이 때문에 여름철 에어컨을 많이 사용하는 가정에서는 전기세가 폭발적으로 증가할 수 있습니다. 누진세를 피하기 위해서는 전기 사용량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누진세 구간에 따른 전기요금(출처 : KEPCO 홈페이지)
최고구간인 400kWh(하계 450kWh) 가 넘어가지 않는다면 일단은 성공일 듯하다.
누진세를 피하는 방법
누진세를 피하기 위해서는 전기 사용량을 조절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전기 사용량 체크하기: 매달 전기 사용량을 체크하여 누진세가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합니다.
전기 사용 시간 조절하기: 전기 사용량이 적은 시간대에 가전제품을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에어컨은 저녁 시간대에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효율적인 가전제품 사용하기: 에너지 효율이 높은 가전제품을 사용하면 전기세를 줄일 수 있습니다.
위에 3가지는 쉽게 하기 어려운 이상적인 방법이지만 가법게 실천할 수 있는 방법도 있습니다.
햇빛 차단하기: 여름철에는 블라인드나 커튼을 이용해 직사광선을 차단하여 실내 온도를 낮춥니다
출처 : 한국방송통신 대학교
에어컨과 선풍기 함께 사용하기: 에어컨과 선풍기를 함께 사용하면 에어컨의 온도를 높여도 시원함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출처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냉장고 관리하기: 냉장고의 온도를 적절히 설정하고, 자주 열지 않도록 합니다. 보관하는 양도 60%정도가 좋다고 합니다.
불필요한 전기 제품 끄기: 사용하지 않는 전기 제품의 전원을 꺼서 대기 전력을 줄입니다.
LED 조명 사용하기: LED 조명은 전력 소모가 적어 전기세 절약에 큰 도움이 됩니다. 자주 사용하는 방의 조명을 LED로 교체하면 쉽게 전기세 절약을 할 수 있습니다.